[의료, 보안] 아이오와 시티 병원, 피싱 공격
(날짜) 2020년 11월 23일(월)
(출처) SECURITY Magazine
(기자) 마리아 엔리케스
(주소) https://www.securitymagazine.com/articles/93988-iowa-city-hospital-suffers-phishing-attack
(요약)
- Mercy Iowa City 병원은 내부 이메일 침해 및 피싱 이메일 사건으로 인해 약 60,473명의 개인정보가 노출 됨
- 유출 된 정보는 개인 건강 정보, 이름, 생년월일, 사회 보장 번호, 운전 면허 번호, 의료 정보 및 의료 보험 정보가 포함 됨
- 관계자는 사이버 공격이 매우 흔하게 일어나므로, 다단계 인증, 직원들의 이메일 및 기타 유형의 공격을 더 잘 인식하고 주의 할 수 있도록 교육이 필요하다고 함
[보안] 대형 기독교 커뮤니티 프레이닷컴에서 1천만 개인정보 유출돼
(날짜) 2020년 11월 23일 (월)
(출처) 보안뉴스
(기자) 문가용 기자
(주소)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2828
(요약)
- 프레이닷컴에서 운영하는 클라우드 몇 개가 인터넷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보안 업체 vpn멘토(vpnMentor)가 발견했으며, AWS S3 버킷들이 인증 장치 없이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던 것인데, 총 190만 개의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었다고 함
- 프레이닷컴의 커뮤니티를 통해 교인들과 소통할 때 필요한 CSV 파일들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며, 교인들의 목록과 전화번호, 주소, 이메일 주소, 결혼 여부 등이 목록화 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인 것으로 확인
[보안] "공공·금융기관, 포티넷 VPN 취약점 공격에 취약"
(날짜) 2020년 11월 23일 (월)
(출처) ZDNetKorea
(기자) 김윤희 기자
(주소) https://zdnet.co.kr/view/?no=20201123090411
(요약)
- 최근 해커들 사이에서 이 취약점의 영향을 받는 기업·기관 목록이 공유됐기 때문에 공공, 금융기관 등을 대상으로 한 포티넷 가상사설망(VPN) 취약점 관련 사이버공격이 증가할 전망
- 포티넷 VPN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가능한 4만9천577곳의 목록이 해커 포럼에서 공유
- 문제가 된 취약점은 해커가 원격으로 포티넷 VPN의 자격증명 정보를 훔쳐 랜섬웨어 유포, 네트워크 침투 등 추가 공격을 할 수 있게되며, 작년 5월 발견된 것으로, 포티넷의 SSL VPN 서비스가 활성화된 경우 이같은 공격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음
[보안] '랜섬웨어 공격' 이랜드 "고객 정보는 안전해요"
(날짜) 2020년 11월 23일 (월)
(출처) 매일신문
(기자) 채원영 기자
(주소) http://news.imaeil.com/EconomyAll/2020112316235991706
(요약)
- 이랜드그룹은 TFT를 구성해 대응하고 있으나, 완벽한 회복까지는 수일에서 일주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며, 고객 정보는 별도 서버에 관리되고 있어 안전한 것으로 알려짐
- 사내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직원 노트북에 대한 점검도 실시하는 등 2차 피해 재발 방지에 힘을 쏟으면서, 수사기관과 협력해 향후 같은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보안 강화에도 신경을 쓴다는 방침
[보안] “中 ·北 ·러시아 ·이란, 이번엔 코로나 백신 ‘해킹 전쟁’ 돌입”
(날짜) 2020년 11월 23일 (월)
(출처) 동아일보
(기자) 이세형 기자
(주소) https://www.donga.com/news/Inter/article/all/20201123/104109163/1
(요약)
- 중국, 북한, 러시아, 이란 등이 화이자, 모더나 등 미 제약사의 백신 정보를 훔치기 위해 서구 제약사와 연구소를 향한 사이버 공격을 일삼고 있음
- 마이크로소프트(MS)는 이달 13일 “북한과 러시아 해커들이 코로나19 백신 정보를 훔치기 위해 한국, 미국, 캐나다, 프랑스, 인도 등의 7개 기업을 노렸다”는 의혹을 제기
[보안] 공격 수위 높인 메이지카트, PoS 멀웨어의 변종 활용하기 시작
(날짜) 2020년 11월 23일 (월)
(출처) 보안뉴스
(기자) 문가용 기자
(주소) https://www.boannews.com/media/view.asp?idx=92829
(요약)
- 이 변종은 PoS 멀웨어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온라인 상거래 웹사이트에 숨어서 여러 가지 지불 정보를 훔쳐낸다고 함
- 처음 발견된 건 2020년 7월로, 당시 보고서에 의하면 로더와 스키머로 구성된 멀웨어였고, 로더와 스키머 둘 다 베이스64(base64)로 다섯 번씩 암호화 된 것으로 나타남
|